OneKey 메모장378 업, 다운 판별법 https://cafe.naver.com/audiodudu/726380 업, 다운 판별법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우린 부푼 기대감을 가지고선재와 액세서리를 바꿉니다.돈을 더 들여서 기기를 변경합니다.궁색해도 열정은 넘치는지라회심의 사부작으로 한 건 하고자 합니다.문제는 '이게 좋아진거여?' 헷갈린다는 겁니다.제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들을 적용해 판단 합니다.음색적인 요소는 철저히 배제하고 오로지 음질적 요소만 봅니다. (질감적 요소는 음색적인 부분과 음질적인 부분이 겹치는 것이라 실체감 파트에서 다룹니다)1. 무대가 넓어지고 깊어지고, 소리파장의 기세영역이 더 높아졌는가? (무대의 폭, 깊이, 높이)존 윌리엄스의 스타워즈 테마곡 20초 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2.. 2025. 1. 13. 상급 소리는 어렵다 https://cafe.naver.com/audiodudu/736579 상급 소리는 어렵다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자신의 소리보다 윗급의 소리를 만났을 때 겪게 되는 혼란이 있습니다.음질에 한정해 보았을 때윗급 소리와 아랫 소리는 최종적으로 스피커로 표출되는 정보량(해상력)의 차이로 나뉩니다. 이 차이를 여러 면에서 보고자 광대역, 무대, 악기분리도, 약음 포착, 다이내믹스, 레이어, 음상, 기음과 배음, 선연함 등의 개념들을 이용합니다1. 양적인 차이 즉, 정도의 차이해상력이 더 높은게 상급소리인데 구체적으로 들어가 '조금, 꽤, 상당히' 등의 표현으로 더 나음을 표현할 수 있는 면들이 있습니다2. 질적인 차이 즉, 다른 모습의 등장어떤 부분은 해상력의 .. 2025. 1. 13. WiFi 5G와 2G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 https://blog.naver.com/concerto450/223722375497 WiFi 5G와 2G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오디오 카페, “하이파이나라 오디오”의 운영진 중 “하루살이”라는 분이 계십니다. 제가 좋아하는 분 중...blog.naver.com 오디오 카페, “하이파이나라 오디오”의 운영진 중 “하루살이”라는 분이 계십니다.제가 좋아하는 분 중 한 분입니다.우선 닉네임이 재밌습니다. 오디오에 대한 열정도 대단하십니다. 글도 재밌게 쓰십니다.이분의 글은 읽는 재미가 있습니다. 며칠 전 상기 제목과 같은 내용의 글을 올리셨습니다.오디오 전용 케이블 무용론에 이어, 한수 더 높은 개소리라고 흥분하시는 분이 계시겠지만, 모두 사실에 부합되는 말씀입니다. 오디오는 케이블에 따라 음색도 변하.. 2025. 1. 12. 오디오 미신 (고역 & 저역) https://blog.naver.com/concerto450/223722762880 오디오 미신 (고역 & 저역)대역 (Band)은 띠帶 + 지경域자를 써서, “어떤 폭으로써 정해진 범위. 최대 주파수에서 최저 주파수까지...blog.naver.com 대역 (Band)은 띠帶 + 지경域자를 써서, “어떤 폭으로써 정해진 범위. 최대 주파수에서 최저 주파수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국어사전)”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오디오에는 의미가 서로 다른 2가지 “대역 (帶域)”이 있습니다. 1) 하나는 “주파수 대역(帶域)”, 그중에서도 특히 오디오와 관련이 많은 “가청 주파수대역 (Audible frequency band, 20~20,000 Hz)”이 있고, 2) 또 다른 “대역 (帶域)”은 소리의 높낮이 (Pitc.. 2025. 1. 12. 오디오 선재에 방향성이 있나? https://blog.naver.com/defunct/223703559644 오디오 선재에 방향성이 있나?오디오 선재에 대한 영상, 한편 더 찍었습니다. 여러분들 께서는 오디오 선재에 방향성이 있다고 생각하시...blog.naver.com 오디오 선재에 대한 영상, 한편 더 찍었습니다. 여러분들 께서는 오디오 선재에 방향성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아니면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우선 아래 영상을 참조해 주세요. https://youtu.be/VmUcTmP8hvw 오디오 신호선이나 스피커 케이블에 접지를 추가하면서 방향성이 생긴다고 주장하는 논리는, 실제로 논란이 많고 과학적으로 완전히 입증되지 않은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 주장이 나오는 배경과 논리적 허점을 이해하면 더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1.. 2025. 1. 11. 차폐형 선재에 대해서 https://blog.naver.com/defunct/223704250001 차폐형 선재에 대해서오리도 선재에 대한 영상을 어제 올렸는데요, 저로서는 아주 명확한 이야기인데, 그 내용에 공감하시지 못 ...blog.naver.com 오리도 선재에 대한 영상을 어제 올렸는데요, 저로서는 아주 명확한 이야기인데, 그 내용에 공감하시지 못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네요.제가 얘기한 주제는 선재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선재에 방향성이 있다는 것은 오디오 업체들 중 특히 고급 오디오 업체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마케팅하고 있는 포인트인지라, 그 내용을 믿고 계신 분들에게는 제 이야기가 이해가 되지 않을 듯 합니다.어제 영상을 올리고 생각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오디오 선재에 흐르는 것은 직류.. 2025. 1. 11. 스피커 셋팅에 대해서 https://blog.naver.com/defunct/223721442987 스피커 셋팅에 대해서한국의 오디오 환경은 각 가정마다, 또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소수의 매니아 분들에게는 청취실을 갖는...blog.naver.com 한국의 오디오 환경은 각 가정마다, 또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소수의 매니아 분들에게는 청취실을 갖는 것이 꿈인 것 같습니다. 오직 음악을 듣기 위한 나만의 청취실을 갖는다는 것은 매우 낭만적인 목표이지요.오늘은 청취실을 만든다면 어떤 방식의 구조가 좋은지, 그리고 또 그 내부는 어느 정도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청취실을 만들 때는 방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내부의 소재와 배치가 음향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정사각형 방보다는 직.. 2025. 1. 11. 앰프의 밸런스 와 언밸런스의 신호 차이 https://blog.naver.com/kjt6974/223720285213 앰프의 밸런스 와 언밸런스의 신호 차이앰프에서 밸런스 입,출력과 언밸런스 입,출력의 음질 차이에대해 거론해 보겠습니다. 혹자는 언밸런스 보단...blog.naver.com 앰프에서 밸런스 입,출력과 언밸런스 입,출력의 음질 차이에대해 거론해 보겠습니다.혹자는 언밸런스 보단 밸런스가 음질 면에서 더 탁월하다는 분들도 계시기에 저와는 상반된 의견인지라 거론을 해보려고 합니다.밸런스는 XLR단자로 3가닥의 선으로 신호가 송출됩니다.1번선: 센터탭으로 그라운드2번선: 신호선으로 +단자, Hot3번선: 신호선으로 -단자, Cold언밸런스는 RCA단자로 두개의 선으로 송출됩니다.1번선: +단자, 신호선2번선: -단자, 그라운드고.. 2025. 1. 9. 선재, 적절한 것을 쓰세요. https://blog.naver.com/defunct/223675736307 선재, 적절한 것을 쓰세요.오디오 하시다 보면 흔하게 만나는 막선 이야기를 좀 해 볼께요. 저는 오디오를 여러 조 운용하다 보니 선...blog.naver.com 오디오 하시다 보면 흔하게 만나는 막선 이야기를 좀 해 볼께요.저는 오디오를 여러 조 운용하다 보니 선재가 항상 부족합니다.그래서 되는대로 그냥 막선이건 뭐건 막 쓰는데요,그래도 오디오를 제대로 한다고 하면 이런 막선 종류들은 조금 피하시길 권해 드려요.우선 선재의 종류로 사용되는 세 가지 주 재료들을 한번 알아 볼께요. 흔히 사용되는 선재의 종류에는 구리가 가장 흔하고 그 다음에 은과 주석이 있습니다. 저는 빈티지 애호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주석선이 조금 선재의.. 2024. 12. 24. 오야이데, 노이즈 억제 테이프(?) PULSHUT 출시! 어제 포스팅한 AdPower Sonic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어제 포스팅 글은 참고)https://blog.naver.com/utopia_11/222915889355 시트지를 스피커에 붙이는 것만으로 음질이 향상된다? AdPower Sonic얼마전에....REQST 레조전스 칩(일명 진동칩)에 대한 글을 포스팅한바 있습니다. 붙이는 것만으로도 ...blog.naver.com 인터넷을 찾아보니 일본에는 꽤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로 케이블로 유명한 오야이데사에서도 비슷한 제품을 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야이데 전기는 아사히 카세히(아사이 그룹의 화학 계열사)가 개발한 PULSHUT(펄 셔트)를 이용한 노이즈 억제 테이프 「NRF-005T」를 11월 4일에 발매한다고 하며 가격은 오.. 2024. 12. 19. 접지를 해도 노이즈가 나온다?? (그라운드, 화이트 노이즈, 잡음, 해결책) https://blog.naver.com/sound8949/222369787260 접지를 해도 노이즈가 나온다?? (그라운드, 화이트 노이즈, 잡음, 해결책)본 글은 기기 이상이 아닌데도, 노이즈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분들에게, 원인을 찾아보도록 작성된 글이며, ...blog.naver.com 접지를 해도 노이즈가 나온다?? (그라운드, 화이트 노이즈, 잡음, 해결책)사운드캣 ・ 2021. 5. 27. 13:49 본 글은 기기 이상이 아닌데도, 노이즈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분들에게, 원인을 찾아보도록 작성된 글이며, 어떤 심오한(?) 해결책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 노이즈가 없는 분들은 거주하시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 전기공사가 아주 잘되어 있는 곳으로 이 글은 참고할 필요도 없으므로 그냥 `뒤로가기`를.. 2024. 12. 19. 극저온 처리 된 모가미, 카다스 케이블 (MOGAMI, CADAS) - 156도 극저온 처리에 대해서는 제 블로그에 여러번 소개를 드린적이 있습니다. TV 드라마나 사극을 보면, 대장장이들이 쇳덩이를 달구어서 가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특히 칼의 강도를 높히기 위해서 이러한 작업을 수십차례 반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열처리 혹은 담금질일고 하는데요.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 단어이겠죠.예전 아랍쪽에선, 이렇게 가공된 카를 뜨거운 상태에서 노예를 상대로 직접 담금질을 -_- 했다고 하는 끔찍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노예의 힘이 칼로 전해진다는 믿음이 있었다고 하네요.지구상에서도 여러가지 물질을 태워서 수천도의 열을 발생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저온처리의 경우는 그 기술의 역사가 짧으며 아직도 진행중입니다. 흔히 지구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온도는 -60 ~ -70도 정도.. 2024. 12. 19. 이전 1 2 3 4 5 6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