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eKey 메모장

차폐형 선재에 대해서

by onekey 2025. 1. 11.

https://blog.naver.com/defunct/223704250001

 

차폐형 선재에 대해서

오리도 선재에 대한 영상을 어제 올렸는데요, 저로서는 아주 명확한 이야기인데, 그 내용에 공감하시지 못 ...

blog.naver.com

 

오리도 선재에 대한 영상을 어제 올렸는데요,

저로서는 아주 명확한 이야기인데, 그 내용에 공감하시지 못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네요.

제가 얘기한 주제는 선재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선재에 방향성이 있다는 것은 오디오 업체들 중 특히 고급 오디오 업체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마케팅하고 있는 포인트인지라, 그 내용을 믿고 계신 분들에게는 제 이야기가 이해가 되지 않을 듯 합니다.

어제 영상을 올리고 생각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오디오 선재에 흐르는 것은 직류가 아닌 교류

선재의 방향성이 의미가 있으려면 교류 전력이 아닌 직류가 흘러야 더 타당할 것입니다.

그런데 주파수를 가진 교류가 흐른다면 이것은 원칙부터 잘못된 것이죠.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오디오의 선재들에는 교류만 흐릅니다.

직류가 흐르면 그것은 곧 잡음에 해당합니다.

직류가 쓰이는 곳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앰프입니다.

앰프 내에서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서 구동합니다.

그렇지만 다시 앰프 바깥으로 전류를 뽑아 낼 때에는 다시 직류를 교류로 바꾸죠.

 

2. 선재의 방향성에 대한 논재는 결국 어떤 식으로 접지를 하느냐에 연관되는 것 같습니다.

그 외의 다른 것들은 사실 논의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제 영상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빈티지 오디오를 주로 다룹니다.

그리고 빈티지 오디오에서 접지를 해서 사용할 만큼 아주 과도한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요.

그러므로 제 영상을 보시는 분들, 특히 빈티지 오디오를 하시는 분들은 어떤 식으로 얘기해도 케이블의 방향성에 대해서 크게 신경 쓰시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3. 다만 차폐형 케이블을 사용하신다고 한다면, 이 경우는 접지에 의한 방향성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이래서 오디오 유투브가 조금 어려운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세상의 모든 분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오디오를 하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가 스피커 선재에 방향성이 의미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고 하더라도, 세상의 어느 누군가는 그 의미를 느끼시고 또 그것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계실 수도 있기 때문이죠.

 

<차폐형 스피커 케이블의 구조>

차폐형 스피커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1. 중앙 도체 (Signal Conductor)
  • 신호를 실제로 전달하는 구리 또는 은 등의 고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중심 도체.
  •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교류)를 전달합니다.

2. 절연층 (Insulation Layer)

  • 도체 주위를 감싸는 전기 절연체로, 신호 간섭과 단락을 방지합니다.

3. 차폐층 (Shielding Layer)

  • 외부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금속층(구리 편조, 알루미늄 호일 등).
  • 전자기 간섭(EMI)과 무선 주파수 간섭(RFI)이 도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합니다.
  • 차폐층은 신호선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보통 한쪽(앰프 측)에 접지됩니다.

4. 외부 재킷 (Outer Jacket)

  • 물리적 손상, 열, 습기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내구성 있는 외피

<차폐형 케이블의 작동 원리>

차폐형 스피커 케이블은 전자기 간섭(EMI)과 무선 주파수 간섭(RFI)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동합니다.

  1. 전자기 간섭 차단
  • EMI는 주변 장비(전원선, 전자 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스피커 신호에 유도되면서 왜곡을 유발합니다.
  • 차폐층이 이 간섭을 흡수하고 접지로 전달하여 신호 도체를 보호합니다.

2. 무선 주파수 간섭 차단

  • RFI는 무선 신호(와이파이, 라디오 주파수 등)가 케이블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차폐층이 외부 주파수를 반사하거나 흡수하여 신호 도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3. 접지에 의한 간섭 제거

  • 차폐층은 보통 한쪽 끝(앰프 쪽)에만 접지되어 있습니다.
  • 이렇게 하면 접지 루프(ground loop)가 형성되지 않아 추가적인 신호 왜곡을 방지합니다.

그런데 이런 차폐 케이블이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오디오에 정말 필요할까요?

차폐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한다면 이런 경우들이겠죠.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가 많거나, 혹은 라디오가 강하게 들어오는 곳 등이 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그런 일이 없을 거에요.

그렇지 않으면 고가의 대용량 앰프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와 전압이 크기 때문에 차폐를 사용하는 것이 심리적으로도 안정이 되는 일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차폐 케이블은 가정용 홈오디오 시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이런 차폐 케이블을 오디오에 써서 안 될 일도 없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사용하기 쉬운 저렴한 차폐 케이블을 판매 하고 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참 어려운 일이네요.

오디오 관련 유투버를 한다는 것이요.

위에 보이는 제품도 차폐 오디오 케이블 중 하나입니다.

중국에서 저렴하게 제작하고 있어요.

다행히도 이 케이블에는 방향성 표시가 없습니다.

어쨌거나 차폐 케이블이 있으니, 어제의 영상에는 예외 조항이 따라 붙겠습니다.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시는 경우는 선재의 방향성을 신경 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적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