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2

Shure M7D Shure M7D 김기인 승인 2015.04.01 00:00 2015년 4월호 (513호) 1960년대 미국을 주름잡던 대표적 카트리지는 모두 슈어 사의 제품이라 할 정도로 슈어 사는 막강한 카트리지 메이커였다. 그들의 MM 카트리지 특허를 피하기 위해 MI형이 개발되었고, 수많은 카트리지 제조사들이 줄을 이어 창립되었다. 당시 카트리지라는 오디오 단품은 그만큼 매력 있는 사업이었다. 특히 카트리지 업그레이드는 오디오 사운드의 전체적인 업그레이드라는 괄목할 만한 성취감을 주는 부분이었다. 또한 카트리지는 반 소모품이어서 마모에 의한 스타일러스, 즉 바늘 교체나 부주의에 의한 손상으로 인한 바늘 교체 등 빈번한 후속 구매가 뒤따르는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슈어 사가 세계 시장을 석권할 무렵 이에 도전장을 낸.. 2024. 3. 24.
리팁, 복각바늘 정보 출처 : 소리전자 박영태 2019.03.07 게시글 박영태 소리전자 - 카트리지 가격인하및 재정리판매 SHURE(슈어) 카트리지 의 완전 생산중지 와 복각바늘의 가격인상 올해 초 그동안 슈어 멕시코공장에서 일부품목 생산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슈어의 카트리지 를 완전히 단종하여, 더 이상 생산 을 www.soriaudio.com 2019년 초, 그 동안 슈어 멕시코공장에서 일부품목 생산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슈어의 카트리지 를 완전히 단종하여, 더 이상 생산 을 하지 않는다는 우울한 소식 입니다. 그 동안 많은 품목은 아니지만 M97XE 나 M92E M44-7 M44G SC35... 등 몇 가지의 카트리지를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해오고 있었는데 이마저 생산을 중지 하고 손을 카트리지 사업 에서 손을 떼는 모양입.. 2024. 3. 24.
음반에서 ⓟ 마크와 (c) 마크가 뜻하는 것 음반 케이스 뒷면이나 내지 혹은 음반의 인쇄면을 보시면 ⓟ 마크와 © 마크와 함께 연도 및 음반사 이름이 인쇄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마크와 연도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초보분들은 잘 모르실 수 있어서 설명드립니다. 이하 편의상 ©는 (c)로 ⓟ는 (p)로 표시하겠습니다. 일단 2가지 마크는 각각 copyright의 c와 published (혹은 produced)의 p를 줄인 것입니다. 통상 (c)는 음반 내지의 해설에 대한 저작권 연도를 표시합니다. 즉 서적에서 쓰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인쇄물의 저작자와 공표연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음악 연주가 아니라 내지 해설을 쓴 사람이 가지는 저작권 표시입니다. 해당 음반이 발매될 때 내지를 새로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래된 녹음이라도 (c) .. 2024. 3. 24.
아날로그 음반 제작과정 저는 아날로그가 CD보다 월등히 음질이 우수하다고 믿는 사람입니다 . 굳이 처음부터 아날로그의 음반제작과정을 소개하는 것은 아마 아날로그음반의 제작과정을 조금 알면 왜 아날로그가 CD 보다 음질이 좋은지 이해가 되리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것은 아날로그 음반의 제작이 마치 도장 ( 印 ) 새기는 것과 새겨진 도장을 가지고 종이에 찍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면 이해가 쉽고 , 왜 초판과 재판을 가지고 따지고 , 초반의 음질이 좋은지 이해가 될 것 입니다 1 . 락커(Lacquer) 마스터판 제작 음원의 녹음 과정은 CD 와 비슷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 다만 원래 녹음은 16 체널 이상 32 체널로 녹음을 하는데 이 녹음 테이프 를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 다시 .. 2024. 3. 24.
세계 주요 마이너 음반사들 마이너 레이블이란 앞에서 언급한 5개의 메이저 음반사를 제외한 음반사들을 일컫는 말이다. *지역성이 두드러진다 *음악의 종류에 대한 전문성이나 실험성이 나타난다 레파토리 선정에서, 음질에서, 자국의 것을 알리겠다는 의지에서, 또는 자켓 디자인에서 독특한 형태로 나타난다. 1) 고음악 전문 레이블 *프랑스 아르모니아 문디 1958년에 시작한 프랑스의 대표적인 레이블로 고색창연한 검정색 자켓만으로도 그들의 고집과 질적 추구를 읽을 수 있다. 르네상스, 바로크 음악에 집중 -연주자와 그 단체들- 카운터 테너 알프레드 델러의 음반, 윌리엄 크리스티가 이끄는 레자르 플로리상, 필립 헤르베헤가 이끄는 라 샤펠 르와얄, 르네 야콥스가 이끄는 콩세르토 보칼레, 찰스 매들렘과 런던 바로크, 니콜라스 맥기건이.. 2024. 3. 24.
세계 5대 메이저 음반사 클래식 음악을 즐기기 시작하여 음반을 수집하려는 사람들에게 명반의 기준은 사람들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그것은 연령충이나 혹은 나라마다, 시대마다 음악에서 추구하는 미의 철학이 바뀌기 떄문이다. 따라서 클래식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부터 명반이란 어떤것인가?라는 물음을 하게되고 그해답을 찾아나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으나 굳이 선정 한다면 명연주가 많은 레이블의 선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제작사에도 메이저들이 있듯이 음반사에도 '5대 메이저'가 있다 최근 폴리그램을 인수한 유니버설 음반사를 위시하여 영국에 본사를 둔 EMI, 과거 RCA 레이블을 인수한 BMG, 과거 CBS레코드사를 인수한 소니뮤직, 그리고 '텔덱'에라토' '넌서치' 등의 만만찮은 레이블.. 2024. 3. 24.
오디오의 탄생 오디오의 탄생 소리를 역사상 최초로 기록에 남긴 것은 1877년 12월6일 발명가 에디슨에 의해서였다. 이것은 원동 축음기로 녹음하는데 성공한 것인데 소위 축음기 시대의 시작이자 오디오 문화의 개막이다. 연주와 녹음의 콤비가 본격적으로 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경으로 당시의 유명한 가수는 다 함께 녹음에 참여했다. 러시아의 소프라노 가수 마리아 이하이로와는 레코드에 의해서 세계에 데뷔한 최초의 가수로 알려지고 있다. 샤리아삥이나 카루소도 레코드로 명성을 얻은 가수인데 특히 카루소의 경우는 이탈리아에서 취입한 레코드가 날개 돛힌 듯이 팔려서 일약 대스타가 되어 다른 가수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위대한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테너가수 카루소의 노래를 이탈리아에 가지 않고도 세계 각처.. 2024. 3. 24.
소리의 구조는 어떻게 구분 되는가? 소리의 구조는 어떻게 구분 되는가? 사운드의 방식이 중 저음 또는 초 저음, 초저음에 대한 얘기가 자주 나온다. 원래 중 저음이나 초 저음이란 같은 말이다. 최근에는 중 저음이란 말을 더 많이 쓰고 있다. 그러면 중저음,초 저음이란 어떤 소리인가. 소리를 글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은데 중 저음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몸에 와서 부딪히는 소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물리적으로는 40Hz 이하의 소리이지만 이는 전문가가 아니면 귀로 판별할 수 없다. 여기서 저음,낮은 소리를 분류해 보면 중 저음(中低音),저음,중 저음(重低音)으로 한글로만 쓰면 구별이 안된다. 그런데 간혹 보통의 저음을 스피커의 우퍼를 통해 듣는다고 해서 중 저음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중 저음을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것은 영화.. 2024. 3. 24.
Shure m75 d (질문) 제 턴테이블에 달려있는 카트리지가 궁금해서요 SHURE M75 TYPE D 이구요 바늘은 NB 71입니다 이 모델에 대해 알고 계신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그리고 바늘을 갈고 싶은데 상기의 모델은 검색해보니 요즘은 나오지 않는 듯 하구요 어떤 바늘을 사용해야 할까요? 답변 부탁합니다 (답변) 말씀하신 카트릿지 및 바늘은 현재 단종 모델입니다. Shure사에서는 그모델의 대체용 동급모델로 현재 M25C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정식수입업체인 samamall.com에서는 바늘(N25C)포함하여 54,000원이군요. 아마도 phono.co.kr 또는 다른곳을 찾아서 가격비교를 해보시 바랍니다. 만약 M75 Type D 카트릿지를 그냥 두시고 바늘만 찾는 다면 N75-6, N75B Type2, N72B를 .. 2024. 3. 24.
슈어 카트리지 모델별 바늘 구성표 카트리지 표준 STYLUS 대체 가능 STYLUS 모델명 비 고 모델명 비 고 모델명 비 고 500S 단 종 -- -- N92E 생산중 800E 단 종 N92E 생산중 N104E 생산중 1000E 단 종 N99E 단 종 N104E 생산중 1000ED 단 종 N105E 단 종 N111HE 단 종 1200HRP 단 종 N110HE 단 종 -- -- DC40 단 종 SS40 단 종 -- -- DC50 단 종 SS50 단 종 -- -- DC60 단 종 SS60 단 종 -- -- DT20E 단 종 -- -- N75ED-T2 생산중 DT50HE 단 종 N97HE 단 종 -- -- HE50S 단 종 -- -- N92E 생산중 HE100E 단 종 N92E 생산중 N104E 생산중 HE150 단 종 -- -- N104E.. 2024. 3. 24.
슈어 M3D 카트리지 오디오를 통해서 음악 듣는 것을 좋아하지만 경제적으로 여유가 충분치 않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물론 돈이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자신이 사용 가능한 경제력의 한계내애서 최선의 소리를 뽑아낼려고 하는 것은 공통된 것이죠. 클래식을 사랑하는 마니아들이 특히 사랑하는 카트리지가 오토폰의 SPU인대 이걸 구할 여유가 없는 경우 아쉬운 마음에 신포도라고 생각하곤 하죠. SPU를 듣다보면 클래식에도 맞지만 보컬 특히 남자 보컬에도 아주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갖게 합니다. SPU 음색은 좋은 한번 바늘이 닳아 없어지면 다시 쓰기가 힘들고 가격도 비싼 SPU 카트리지에 부담을 느끼는 마니아라면 슈어사의 최초 카트리지인 M3D를 추천 할만 합니다. 고역의 디테일이 약간 떨어지기는 하지만 SPU 분위기를 가장 잘 .. 2024. 3. 24.
턴테이블의 플래터 아날로그 탐구 (13) 턴테이블의 플래터 By AnalogStyle - 2016년 10월 1일 턴테이블의 플래터는 성질이 균일해야 하며 무거워야(특히 외주로 갈수록 무거워야) 회전 관성이 크므로 회전의 안정성에 유리하다. 플래터의 재질은 예전에는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가 주종이었지만, 최근에는 아크릴이나 세라믹, 유리나 고분자 계열 복합재료도 널리 사용된다. 물론 플래터의 재질에 따라 음색의 변화도 적지 않은데, 대체로 무겁고 단단한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플래터가 지나치게 무거울 경우 축받이 쪽 베어링의 마모가 심해져서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이엔드 턴테이블 메이커들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는 방법을 쓰는 경우도 많다. 철제 플래.. 2024.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