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dio

Audio-Technica AT33MONO MC Phono Cartridge

by onekey 2024. 4. 3.

Audio-Technica AT33MONO MC Phono Cartridge

To Mono, or not to Mono, that is the question…

모노로 갈 것인가, 모노로 가지 않을 것인가, 그것이 문제입니다...

 

I was excited to hear Audio-Technica had released an anniversary edition of their AT33Mono MC cartridge. Most of my mono albums are in the jazz category (vocal and instrumental), but I also have some stellar pop and rock albums, too, that would now be able to get the proper mono treatment they deserve.  

오디오테크니카에서 AT33Mono MC 카트리지의 기념일 에디션을 출시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기뻤습니다. 제 모노 앨범의 대부분은 재즈(보컬 및 악기) 범주에 속하지만, 팝과 록 앨범도 몇 개 있는데 이제 제대로 된 모노 처리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았거든요.  

 

As an avid record collector in many genres, I generally prefer and choose stereo pressings over mono pressings. This was always due to my system constraints. I have never had quite the right equipment to truly appreciate the single-channel sound that a mono record produces, that’s not to say that I haven’t collected some nice titles over the years.  

다양한 장르의 음반을 수집하는 저는 일반적으로 모노 프레싱보다 스테레오 프레싱을 선호하고 선택합니다. 이는 항상 제 시스템의 제약 때문이었습니다. 모노 레코드가 만들어내는 싱글 채널 사운드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장비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수년 동안 멋진 타이틀을 수집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My Use  

Many years ago, I jumped into the vintage pool of equipment (my main receiver was the Pioneer SX-434) as I was looking for that “old school glow” some millennial vinyl enthusiasts yearn for. The SX-434 had what I was looking for, as well as a bonus; a mono switch where I could press the button and it would merge the two channels (stereo) into one to create a single channel (mono). The system was never true mono, however, as I was using a stereo cartridge at the time (Ortofon 2M Red and eventually the 2M Blue).

수년 전, 저는 밀레니얼 세대 레코드 애호가들이 갈망하는 "올드 스쿨의 빛"을 찾기 위해 빈티지 장비(제 메인 리시버는 Pioneer SX-434였습니다)에 뛰어들었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두 채널(스테레오)이 하나로 합쳐져 단일 채널(모노)이 되는 모노 스위치는 제가 찾던 기능뿐만 아니라 보너스 기능까지 갖추고 있었죠. 하지만 당시에는 스테레오 카트리지(Ortofon 2M 레드, 이후 2M 블루)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은 진정한 모노가 아니었습니다.

 

With a current (and massive) system upgrade later, I now have the reverse type of setup. My superb Aavik integrated amplifier doesn’t have a mono switch (or a separate phono stage). But I now have a secondary turntable (with onboard phono stage) paired with the Audio-Technica AT33MONO MC Phono Cartridge ($299) installed to make for easy switching.

나중에 대대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해 저는 이제 그 반대 유형의 설정을 갖게 되었습니다. 저의 훌륭한 Aavik 인티앰프에는 모노 스위치(또는 별도의 포노 스테이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오디오테크니카 AT33MONO MC 포노 카트리지(299달러)와 페어링된 보조 턴테이블(온보드 포노 스테이지 포함)을 설치했습니다.

 

The AT33 cartridge is mounted on the recently reviewed Cambridge Audio Alva V2 Turntable and is connected to an Aavik Acoustics I-280 Integrated Amplifier and an Aavik Acoustics R-280 Phono Stage. Since I have the benefit of having my audio set up in my home office, I enjoy vinyl throughout the day. I would like to thank Frank Doris and Audio-Technica for providing the AT33MONO MC Phono Cartridge for this review.

AT33 카트리지는 최근에 리뷰한 캠브리지 오디오 알바 V2 턴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빅 어쿠스틱스 I-280 인티앰프와 아빅 어쿠스틱스 R-280 포노 스테이지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홈 오피스에 오디오를 설치한 덕분에 하루 종일 바이닐을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 리뷰를 위해 AT33MONO MC 포노 카트리지를 제공해주신 Frank Doris와 Audio-Technica에 감사드립니다.

 

Setup/What’s in the box

Setup is relatively easy. You’ll need a small screwdriver—the box includes two types of installation screws to mount the cartridge to your headshell (mine required the larger ones to be screwed in from the bottom up). Suppose you are new to mounting a cartridge. In that case, you may also need to purchase a separate stylus pressure gauge and a cartridge stylus alignment protractor to ensure your cartridge is tracking properly.

설치는 비교적 쉽습니다.작은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카트리지를 헤드쉘에 장착하기 위한 두 가지 유형의 설치 나사가 상자에 들어 있습니다(제 경우에는 큰 나사를 아래에서 위로 조여야 했습니다). 카트리지 장착이 처음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카트리지가 제대로 추적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스타일러스 압력 게이지와 카트리지 스타일러스 정렬 각도기를 구입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Features and Specifications

Frequency Response: 20-20,000 Hz

Channel Separation: 30dB (1kHz)

Vertical Tracking Angle: 23°

Vertical Tracking Force: 2.3-2.7 g (2.5 g standard)

Recommended Load Impedance: More than 100 ohms (when head amplifier is connected)

Coil Impedance: 10 ohms (1 kHz)

DC Resistance: 10 ohms

Coil Inductance: 28 µH (1 kHz)

Output Voltage: 0.35 mV (at 1 kHz, 5 cm/sec)

Output Channel Balance: 1.0dB (1kHz)

Stylus Shape: 0.65 mils conical

Cantilever: Duralumin pipe

Static Compliance: 20 x 10-6 cm/dyne

Dynamic Compliance: 6 x 10-6 cm/dyne (100 Hz)

Mounting: Half-inch

Dimensions: 16.0 mm (0.63") H × 16.6 mm (0.65") W × 26.5 mm (1.04") D

Body Material: Aluminium/Synthetic Resin

Mounting Feature: Half-inch mount

Stylus Size: Nude square shank

Weight: 6.9 g (0.24 oz)

 

 

Sound

Straight out of the box, this cartridge sounds wonderful. After only a five-minute coil warm-up, there were noticeable results between stereo playback and this focused mono. My partner, who occasionally listens with me, was across the room and noticed a large difference in the sound from my favourite mono records compared to listening with my stereo cartridge. The mono cart added life and dimension to the mono playback.

이 카트리지는 개봉하자마자 훌륭한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5분 정도만 코일을 예열하면 스테레오 재생과 이 집중형 모노 간에 눈에 띄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끔 함께 듣는 제 파트너는 방 건너편에 있었는데, 제가 좋아하는 모노 레코드의 사운드가 스테레오 카트리지로 들을 때와 큰 차이가 있음을 알아차렸습니다. 모노 카트는 모노 재생에 생동감과 입체감을 더해 주었습니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mono and stereo records and how do they sound? True mono records (late 50s to the late 60s) were cut using a mono lathe, then (after 1967) stereo lathes almost exclusively. Mono grooves are lateral (side to side) whereas stereo-record microgrooves have both lateral and vertical.

모노 레코드와 스테레오 레코드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소리는 어떻게 들리나요? 진정한 모노 레코드(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후반)는 모노 선반을 사용하여 절단되었고, 그 후(1967년 이후)에는 거의 독점적으로 스테레오 선반을 사용했습니다. 모노 레코드의 홈은 가로(좌우) 방향인 반면 스테레오 레코드의 마이크로 홈은 가로와 세로 방향이 모두 있습니다.

 

A mono cartridge reads the information differently from a stereo cartridge in how the stylus tracks in the grooves of the record; this is called groove geometry. A mono (or conical type) stylus is confined to horizontal compliance only and when using this type of stylus, it will read the informa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groove wall only; together this forms and creates the single channel sound. A mono stylus will ride in the grooves at a different angle from a stereo stylus and will significantly reduce what’s called the noise floor and it will filter out any unwanted sound. Using a mono cartridge and stylus will give you a greater depth of sound.

모노 카트리지는 스타일러스가 레코드판의 홈을 추적하는 방식에서 스테레오 카트리지와 다르게 정보를 읽는데, 이를 홈 지오메트리라고 합니다. 모노(또는 원뿔형) 스타일러스는 수평 준수에만 국한되며 이러한 유형의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때는 그루브 벽의 왼쪽과 오른쪽에만 정보를 읽고 이것이 합쳐져 단일 채널 사운드를 형성하고 생성합니다.  모노 스타일러스는 스테레오 스타일러스와는 다른 각도로 그루브에 들어가며 노이즈 플로어라고 하는 것을 크게 줄이고 원하지 않는 소리를 걸러냅니다. 모노 카트리지와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면 더욱 깊이 있는 사운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If using a stereo cartridge on a mono record you may hear distortion—what’s called cross-talk; this is because many stereo styli track at a different angle and because the stylus is reading what’s in the whole groove (laterally and vertically) instead of just the information that is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groove wall.

모노 레코드에 스테레오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 크로스토크라고 하는 왜곡이 들릴 수 있는데, 이는 많은 스테레오 스타일러스가 다른 각도로 트랙을 기록하고 스타일러스가 홈 벽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정보만 읽는 것이 아니라 전체 홈(측면 및 수직)에 있는 것을 읽기 때문입니다.

 

 

Some sound examples from my mono collection:

제 모노 컬렉션의 몇 가지 사운드 예제 :

Julie London – Julie Is Her Name (Mono)

 
Liberty – LRP 3006, Canada, 1955

I first learned about Julie London when watching the television show, “Emergency!”. Upon further research, I found that she was also a singer. London quickly became one of my favourite female vocalists and she had me hooked from the moment I heard her first sing “Cry Me a River.” My copy of this record is in VG condition with groove wear that can impact the sound. When I played this recording on my usual stereo cartridge, crosstalk was evident as well as the wear. With the AT33, London’s voice continued to be extremely luscious and vibrant, especially on “Can’t Help Lovin’ That Man.” The groove wear mentioned doesn’t detract from her voice at all due to the deeper grooves and the horizontal compliance of the conical stylus. Barney Kessel’s guitar is distortion-free free and Ray Leatherwood’s bass is rich in sound throughout the narrow soundstage.

줄리 런던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은 텔레비전 쇼 "비상사태!"를 보면서였어요. 더 알아본 결과 그녀가 가수로도 활동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런던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여성 보컬리스트 중 한 명이 되었고, 그녀의 노래 "Cry Me a River"를 처음 들은 순간부터 매료되었어요. 이 음반의 제 사본은 사운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홈 마모가 있는 VG 상태입니다. 평소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트리지로 이 레코딩을 재생했을 때, 마모와 함께 누화가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AT33을 사용하면 런던의 목소리는 매우 감미롭고 생생하며, 특히 "Can't Help Lovin' That Man"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앞서 언급한 그루브 마모는 원뿔형 스타일러스의 깊은 그루브와 수평적 컴플라이언스 덕분에 그녀의 목소리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바니 케셀의 기타는 왜곡 없이 깨끗하고 레이 레더우드의 베이스는 좁은 사운드 스테이지에서 풍부한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Frank Sinatra – Where Are You? (Mono)

 

Capitol Records – W-855, USA, 1957

Frank Sinatra’s music was introduced into my life over the years through my grandmother; she would sing his songs to us as children at bedtime. He was her absolute favourite singer when she was growing up, and he still is to this day in her 94th year. Ever since I can remember, Sinatra has been a great musical influence in my life. I have owned many of his albums over the years, but I tend to prefer his albums with Nelson Riddle and his Orchestra. This specific album I purchased recently from a record show and it was in VG condition but was not with Nelson Riddle. For a couple of dollars and in mono it was a no-brainer. This is Sinatra’s first performance with Gordon Jenkins and his Orchestra. I played this first on my regular stereo setup and the pops, clicks, and mild distortion were evident. The AT33 cartridge took this album beautifully in stride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surface scratches present. From the moment the orchestra starts to play “Laura’” you can tell the soundstage is wide, and Sinatra’s voice is warm and inviting throughout the album, something it lacked in stereo.

프랭크 시나트라의 음악은 할머니를 통해 수년에 걸쳐 제 삶에 소개되었고, 할머니는 어린 시절 잠자리에 들 때마다 우리에게 그의 노래를 불러주곤 하셨어요. 할머니는 프랑크 시나트라가 어렸을 때 가장 좋아하는 가수였고, 94세가 되신 지금까지도 여전히 좋아하시는 가수입니다. 제가 기억할 수 있을 때부터 시나트라는 제 인생에서 음악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년 동안 그의 앨범을 많이 소장했지만, 저는 넬슨 리들과 그의 오케스트라가 함께한 앨범을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최근에 레코드 쇼에서 구입한 이 특정 앨범은 VG 상태였지만 넬슨 리들이 참여한 앨범은 아니었습니다. 단돈 몇 달러에 모노로 구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고든 젠킨스와 그의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시나트라의 첫 공연입니다. 일반 스테레오 설정에서 먼저 재생해 보니 팝, 딸깍 소리, 약간의 왜곡이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AT33 카트리지는 표면 스크래치가 약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을 훌륭하게 재생해 주었습니다. 오케스트라가 "Laura"를 연주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사운드 스테이지가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시나트라의 목소리는 스테레오에서는 부족했던 따뜻하고 매력적인 음색을 앨범 전체에서 들려줍니다.

 

Elvis Presley – For LP Fans Only

 

RCA Victor – LPM 1990 (J2PP-8070), USA, 1959

From a young age, I was fascinated with Elvis and his Rockabilly style of music. I enjoyed his music and movies so much that I wanted to have his hairstyle growing up—this wasn’t possible, however, as I didn’t have the hair type for it, so I had to settle for a pair of blue suede shoes. I’ve listened to Elvis in stereo for many years, and I’ve owned many different albums, but my good friend Bob came into a collection of Elvis LPs recently which meant I would be able to hear him in true mono for the first time.  Bob loaned me his NM graded 1S mono first Indianapolis pressing of For LP Fans Only, and I was curious to hear how it sounded on my stereo setup first for comparison. It was as I suspected…noisy and disappointing. The sound seemed uneven and muted, and Presley sounded like he was miles away from the microphone. The AT33 was just the cure for this problem. The soundstage was wider, the vocals clearer, and Presley sounded like he was in front of the microphone instead of far away. My favourite sounding track on this compilation is “That’s Alright”, and this recording is certainly more than just alright.

어렸을 때부터 저는 엘비스와 그의 로커빌리 스타일 음악에 매료되었어요. 그의 음악과 영화를 너무 좋아해서 커서 그의 헤어스타일을 하고 싶었지만, 제 머리 타입이 아니어서 불가능했고 파란색 스웨이드 신발 한 켤레로 만족해야 했죠. 저는 오랫동안 엘비스를 스테레오로 들어왔고 다양한 앨범을 소장하고 있었지만, 최근에 제 절친한 친구인 밥이 엘비스 LP를 소장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진정한 모노로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Bob은 자신의 NM 등급 1S 모노 첫 번째 인디애나폴리스 프레싱의 For LP Fans Only를 빌려주었고, 저는 비교를 위해 먼저 제 스테레오 설정에서 어떻게 들리는지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예상대로... 시끄럽고 실망스러웠습니다. 사운드가 고르지 않고 음소거된 것 같았고 프레슬리는 마이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들렸습니다. AT33은 이 문제를 해결해 주었습니다. 사운드 스테이지가 더 넓어지고 보컬이 더 선명해졌으며 프레슬리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들렸습니다. 이 컴필레이션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트랙은 "That's Alright"인데, 이 녹음은 확실히 그냥 괜찮은 것 이상입니다.

 

Rick Nelson – A Long Vacation (Mono)

 

Imperial Records – LP9244, USA, 1963

I was introduced to Rick Nelson’s music many years ago by my late stepfather. He grew up with his music throughout his teen years and that meant I did too. When I first started collecting vinyl, I sought out some of Nelson’s albums just to be able to play his music when my parents visited my apartment, and I slowly became a fan of his country-rock sound. I have listened to this record countless times with very much enjoyment, but the guitar sounds were lacking in their vibrancy and his voice sounded slightly muddy when playing on my stereo cartridge. With the AT33, the improvements were astronomical. Nelson’s voice was incredibly vivid, the noise floor was lowered, and with every strum of the guitar, you felt like you were right there with him.

저는 수년 전 돌아가신 양아버지로부터 릭 넬슨의 음악을 소개받았습니다. 10대 시절 내내 그의 음악을 들으며 자랐기 때문에 저도 그렇게 자랐죠. 처음 바이닐을 수집하기 시작했을 때 부모님이 집에 방문했을 때 그의 음악을 들려드리기 위해 넬슨의 앨범을 찾았고, 서서히 그의 컨트리 록 사운드의 팬이 되었죠. 이 음반을 매우 즐겁게 수없이 들었지만 기타 사운드의 생동감이 부족하고 스테레오 카트리지로 재생할 때 그의 목소리가 약간 탁하게 들렸습니다. AT33을 사용하면서 천문학적인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넬슨의 목소리는 놀라울 정도로 생생하고 노이즈 플로어가 낮아졌으며 기타의 모든 스트럼을 연주할 때 마치 그와 함께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Louis Armstrong – Hello Dolly! (Mono)

 

Kapp Records – KL 1364, USA, 1964

Everyone knows this Dixieland legend, but listening to Satchmo in mono is an absolute delight. I have owned this record for many years, and in its VG+ condition, there was always some crosstalk that occurred when playing this album with my stereo cartridge. When I listened with the AT33 there was none, and his deep voice and trumpet were swinging with happiness. Satchmo’s voice sounded richer, and his trumpet and the other musician’s instruments shined throughout the record.

누구나 이 딕시랜드의 전설을 알고 있지만, Satchmo를 모노로 듣는 것은 절대적인 즐거움입니다. 저는 이 음반을 수년 동안 소장해 왔는데, VG+ 상태인 이 LP에서는 스테레오 카트리지로 이 앨범을 재생할 때 항상 약간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했습니다. AT33으로 들었을 때는 전혀 없었고, 그의 깊은 목소리와 트럼펫이 행복하게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사치모의 목소리가 더욱 풍부하게 들렸고, 트럼펫과 다른 뮤지션의 악기가 음반 전체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The Rolling Stones – Out of Our Heads (Mono)

 

London Records (Red Label) – LL 3429, Canada, 1965

The Rolling Stones in Mono box re-release triggered an idea—I thought I would use an example of an original mono version rather than the reissue; after all, who doesn’t love the Stones? A friend loaned me an original copy of this album. The AT33 showcased how good these recordings can sound. Listening to this album in stereo sounded very dull, and as if the other band members were further away from the microphone. When listening to “Satisfaction”, it should be punchy and make you sing along, and in this case, it did not. While listening to the rest of the album, Jagger’s voice sounded compressed while the guitar and other instruments overtook his vocals, especially on tracks “The Under Assistant West Coast Promotion Man”, and “Play with Fire.’” In went the Audio-Technica with the expected difference. Jagger’s voice shined through, and the instruments during “Satisfaction,”, “The Under Assistant West Coast Promotion Man” and “Play with Fire” were clearer and sounded much less compressed.

롤링 스톤즈 인 모노 박스 재발매를 보고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재발매보다는 오리지널 모노 버전을 사용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친구가 이 앨범의 오리지널 사본을 빌려줬어요. AT33은 이 음반이 얼마나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는지 보여줬어요. 이 앨범을 스테레오로 들었을 때는 다른 밴드 멤버들이 마이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매우 둔탁하게 들렸습니다. "Satisfaction"을 들을 때 펀치감이 있고 따라 부르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나머지 앨범을 듣는 동안 재거의 목소리는 압축되어 들리는 반면 기타와 다른 악기가 보컬을 압도했으며, 특히 트랙 "The Under Assistant West Coast Promotion Man"과 "Play with Fire"에서는 보컬이 압도적으로 들렸습니다. 오디오 테크니카는 예상대로 차이를 만들어냈습니다. 재거의 목소리는 더욱 선명해졌고, "Satisfaction", "The Under Assistant West Coast Promotion Man", "Play with Fire"의 악기들은 훨씬 덜 압축된 사운드로 들렸습니다.

 

Chet Baker – Chet (Mono Record Store Day Reissue)

 

Craft Recordings, Riverside Contemporary Series – CR00593, USA, 2022

This specific album is an all-analogue mastering from the original mono tapes by Kevin Gray at Cohearant Audio. I have heard this recording in stereo many times since my original copy was a reissue from 2013 on the Riverside label. This is my favourite of Baker’s albums, and I know it well. This mono re-issue, also cut on a modern stereo lathe, has virtually no degrading effects unlike you’d hear on an original mono pressing with the deeper groove. Once I switched over to the AT33, the recording was now richer with a marked improvement on Baker’s horn, Burrell’s guitar, and with every twinkle of Evans’ piano keys.

이 특정 앨범은 코히어런트 오디오의 케빈 그레이가 오리지널 모노 테이프의 모든 아날로그 마스터링을 한 것입니다. 저는 이 음반을 2013년에 리버사이드 레이블에서 재발매한 이후 스테레오로 여러 번 들었습니다. 베이커의 앨범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앨범이고, 잘 알고 있습니다. 최신 스테레오 선반에서 커팅된 이 모노 리이슈는 그루브가 깊은 오리지널 모노 프레스에서 들을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음질 저하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AT33으로 전환한 후에는 베이커의 호른, 버렐의 기타, 에반스의 피아노 건반의 반짝임이 눈에 띄게 개선되어 레코딩이 더욱 풍성해졌습니다.

 

Conclusion

Whether your setup has a mono switch or not, this is the best place to begin your journey. The AT33MONO MC 45th Anniversary cartridge at only $299 will give you noticeable results straight out of the box and your sound will show a marked improvement. Setup is easy, and whether you’re a vinyl beginner or an expert audiophile, this cartridge is an absolute bargain and will enhance any type of setup you have, just make sure your amplifier/phono stage is moving-coil compatible. 

모노 스위치가 있든 없든, 여정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곳입니다.  299달러에 불과한 AT33MONO MC 45주년 기념 카트리지는 개봉하자마자 눈에 띄게 향상된 사운드를 선사할 것입니다. 설치가 간단하며, 바이닐 초보자이든 전문 오디오 애호가이든 상관없이 이 카트리지는 절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며, 앰프/포노 스테이지가 무빙 코일과 호환되는지 확인하기만 하면 모든 유형의 설정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Further information: Audio-Technica

 

'A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tofon Exclusive Series Experience Tour  (0) 2024.04.03
Goldring unveils Ethos SE  (0) 2024.04.03
Sonic Voice Turntable Mats  (0) 2024.04.03
Eipuriru Furu HypoResonance 9000 Turntable  (1) 2024.04.03
Introducing Austin AudioWorks  (0)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