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jongeoni/223753089320
요르마 파라곤의 고급짐을 맛보세요, I Don't Want To Talk About It
요르마 케이블의 최신형 케이블 요르마 파라곤을 잠시 가져왔습니다. 당연하게도 대여입니다 현재 처음에 ...
blog.naver.com
요르마 케이블의 최신형 케이블 요르마 파라곤을 잠시 가져왔습니다.
당연하게도 대여입니다
현재 처음에 들었던 가격보다 한참 오른 2,000만원대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박살 난 환율 덕분에.. 정말 모든 것들의 가격이 엄청 오른듯싶습니다.
환율 때문에 당분간 수입물품의 가격은 구매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엊그제 알리에서 물품을 하나 샀는데. 예전에 4만 원이면 했던 것이..
지금은 6만 원이나 줘야 하더라고요;;
그냥 앉아서 2만원이나 손해를;;
정말 미친 듯이 오르고 있는듯싶습니다.
그냥 앉아서 게임이나 해야지 원..
잠시 말이 이상한 곳으로 갔는데..
하여간 저희 집에 들어온 파워케이블 중에는 가장 비싼 케이블입니다.
1천 내외의 파워케이블은 많이 빌려도 보고 꽂아도 보고 했는데
2천이 넘는 건 또.. 처음인듯싶습니다.
1천도 비싸다 생각했는데;;2천 대라니..
그래서 궁금했습니다.

케이블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솔직히 이전은 좀 올드했습니다.금색 반짝이라니..)
개인적으로 아주 예뻐졌다고 생각됩니다.
이제는 파워케이블도 디자인을 신경 쓰는듯싶습니다.
색도 고급스럽고 좋아 보입니다.
저 외피가 어디 있으면 한번 구해서 씌워주고 싶긴 합니다.

요르마 하면 중간에 댐퍼 역할을 하는 나무가 특징이죠.
이것도 디자인이 된 듯 아주 깔끔하게 처리했습니다.
심플한데도 무척 고급 져 보입니다.

외피는 흔히 볼 수 있는 케이블 외피하고 차이가 나는데
촉감도 좋고.. 혹시 카본 같은 것이 섞여 있지 안 싶을 정도의 감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케이블에 맞춰서 디자인 포함 특성을 특주를 한듯싶습니다.

단자는 우리가 아는 그 단자입니다.
오야이데 M1
파워케이블 단자는 이제 후루텍 NCF 하고 M1이 양대 산맥이 된듯싶습니다.
단자에서는 더 이상의 차이를 낼 방법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 M1 단자에 Jorma Paragon이라고 마킹을 했습니다.
엄청난 수량을 주문했나 봅니다.
이런 것도 해주고 말이죠~

IEC 단자에도 음각 마킹이 되어있습니다. ^^
비싼데 이 정도는 해줘야죠~~
단자 성능은 잘 알고 있는 M1, F1 단자의 성능이 나올 것 같고 (이것도 설마 특주를 하진 않았겠죠?)
그럼 남는 건 케이블의 특성과 외피, 댐퍼 역할 정도 남을듯싶습니다.
단자 특성은 무척이나 개방적인 단자입니다.
있는 소리를 다 확장해서 끌어내주는 단자이죠.

요르마 파라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기존 요르마 최상급 케이블인 요르마 스테이트먼트를 소환할 수밖에 없을듯싶습니다.
1년 정도 제 시스템에서도 좋은 역할을 잘해준 케이블입니다.
적막감, 투명도, 무대 크기
소리를 차분하게 해주는 능력이 탁월하고
중역 위주의 예쁜 소리가 나는 음색형 케이블입니다.
음에 살집이 붙어서 음색이 두텁고 찰랑거리는 맛이 있습니다.
실텍하고는 또 다른맛이죠.
기능적으로는 튀는 음을 정리해 주는 역할이 워낙에 좋은 터라
저는 디지털 단에는 아주 좋은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DAC, 클럭, 허브, 공유기 등등 아날로그 단이 아닌 디지털단에서는 많은 추천을 했지만,
파워앰프나 멀티탭같이 힘을 요하는 곳에서는 추천드리지 않는 케이블이었습니다.
뭐.. 쓰셔도 다른 것들보다는 좋을 수 있겠지만
아무래도 멀티탭이나 앰프에는 좀 더 착색이 적고 힘이 좋은 것들이 같은 가격대에서는 좋은 선택지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음색형이다 보니 쉽사리 매칭하기 쉽지 않은 문제도 있습니다.
오히려 엔트리급인 트리니티, 듀얼리티가 색이 적다 보니 더 좋다 생각되었습니다.
위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바로 이 부분이 요르마 스테이트먼트의 아쉬운 점이었습니다.
자기주장(색)이 강하고 무대를 앞으로 쭉 내어주지는 못한다는 점이죠.
그것이 아마 요르마 스테이트먼트의 약점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강한 차폐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케이블도 엄청나게 뻣뻣하고 딱딱합니다.
몽둥이로 쓰기 딱 좋은 ㄷㄷ
요새 케이블을 만지작거리면서 성향을 살펴보니..
차폐가 강한 것들의 특성이 대부분 저런 경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차폐 방식은 모두 다르지만 강하게 차폐를 건 케이블들은
정돈 능력은 탁월한데.. 밀어내 주는 능력이 좀 아쉬운 거죠.
무대를 뒤로 빼는 데는 좋지만 개방감에서는 다소 아쉬움 감이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뭐 하나를 취하면 다른 것들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인듯싶습니다.
그래서 매칭과 적절한 조합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파라곤은 이 요르마 스테이트먼트의 약점을 보완했습니다.
일단 외관부터 요르마 스테이트먼트보다 훨씬 부들부들하고 유연합니다.
오히려 물량이 덜 들어간 느낌입니다.
요르마 스테이트먼트가 자랑했던 완벽한 차폐를
다시 다른 형태로 보완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전처럼 선이 딱딱하거나 뻣뻣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다른 소재를 사용해서 좀 더 차폐의 정도를 완화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왜냐하면..
개방감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요르마 스테이트먼트의 특기인 음을 정리하는 능력을 가진 채 말이죠.
분명 소리는 정리가 되어서 무대가 뒤로 쭉 빠졌다 싶었는데
다시 앞으로 개방감 있게 내어줍니다.
그래서 적막한 것은 여전하고 무대가 더 커졌습니다.
그리고 이 특성으로 인해서 무대 앞뒤가 더 생겼습니다.
이전 케이블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적절하게 잘 보완한 듯 싶습니다.
기존 요르마 케이블과 힘 있는 케이블과 쌍으로 매칭을 통해서 만들었던 무대를
이제는 한 개의 케이블로 그것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기존의 요르마 스테이트먼트가 들어간 자리에 대신 들어가면
같은 성향에서 개방감이 붙으니 좋을 수밖에 없을듯싶습니다.
게다가 이제는 파워에도 쓸 수 있을 만큼 소리를 밀어주니
좀 더 올 라운드적인 성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들 그 맛에 사신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딱 그 자리에 끼우면 답 나오죠..
참 대단하다 생각됩니다.
분명 케이블이 가진 특성 한계는 명확할 텐데...
이것을 또 튜닝을 통해서 극복을 하니 말이죠.
개방감이 있는데 무대가 적막한 것이 무척 인상적인듯싶습니다.
게다가 요르마만의 중역 색도 잘 살아있고요.
대신, 이전보다는 가지고 있는 색은 많이 옅어졌습니다.

케이블 반납을 앞두고 서둘러 제 시스템에도 적용을 해서 기록 삼아 녹음 한곡 해보았습니다.
요르마의 장점이 잘 보일만한 곡으로 골랐습니다.
풍성하고 살집이 많아야 하는곡으로 말입죠.
이런곡이 원래 제 취향이긴 한데 말인죠..
시간을 내서 보다 완벽한? 세팅을 해야 하나 싶었지만.. 시간은 한정되고 제꺼가 아닌 관계로 ㄷㄷ
(요새 업무 때문에 너무 바쁩니다. ㅠㅠ)
그냥 위치만 바꿔가면서 연결을 해보았습니다.
어느 곳에 장착을 해보아도 자기 색과 능력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그냥 꼽았는데 무조건 좋아진다. 세팅과 매칭이 잘 된 곳에서는 그런 일은 잘 없습니다.
하지만 성향이 비슷한 곳에 넣었을 때는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하는 듯싶습니다.
저는 쉽게 디지털단에 적용을 했습니다.
비싼 케이블은 어디에 써야 한다는 조건이 있지는 않습니다.
들어보고 시스템의 가장 병목이 될만한 곳, 크게 개선되는 곳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올라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이다 보니 어디에 사용해도 좋아서 오래간만에 엄청난 뽐뿌를 받는 케이블인데
가격 보고 사그러 들었습니다. ㄷㄷㄷ
너무 비쌉니다...
그런 면에서 요새 요르마 스테이트먼트 중고가가 정말 좋아졌더군요.
I Don't Want to Talk About It - Inger Marie Gundersen
살집 두툼하니 진하고 고급지고 좋죠~~~

네트워크 플레이어 : 하이파이로즈 RS130
DAC : accurate ultimate mk2 (R2R)
앰프 : MBL N51
스피커 : Marten Mingus Quintet 2 (마르텐 밍거스 퀸텟 2)
녹음기 : 소니 PCM-D10
'A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갖고 싶은 턴테이블 1위 - 어쿠스틱 시그니처 Hurricane NEO (0) | 2025.02.09 |
---|---|
대단한 하이파이 로즈, 트론 그리고 DAC (1) | 2025.02.09 |
〈What Hi-Fi?〉가 선정한 2024년 올해의 뮤직 스트리머 (2) | 2025.02.09 |
JAVS Arete DAC 6개 모듈 비교 청음 (1) | 2025.02.02 |
Degritter Mark II Ultrasonic Record Cleaner Review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