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포리스트가 발명한 최초의 삼극진공관 ‘오디온’. <출처: (CC)Gregory F. Maxwell at Wikipedia.org>
1906년, 미국인 발명가 리 디포리스트(Lee de Forest, 1873 ~ 1961)는 마침내 자신이 원하던 라디오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냈다. 훗날 오디온(Audion)이라 불린 삼극진공관(Triode)을 완성한 것이었다. 오디온은 필라멘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그리드 세 전극이 진공 유리관에 둘러싸인 형태의 장치였는데, 전지에 연결하면 약한 라디오 신호도 감지할 수 있는 감도 높은 수신 장치였다. 디포리스트는 자신이 개발한 장치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뿐 아니라 수신된 라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도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는 1907년에 오디온의 증폭 기능에 대해서도 특허를 출원했다. (그러나 실제 오디온의 증폭 기능은 1912년에야 시연될 수 있었다.) 디포리스트는 증폭 시연을 하는 동안 이 장치가 라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로도 쓰일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디포리스트는 단 하나의 발명으로 전화, 전신, 라디오가 겪고 있던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디포리스트, 라디오 신호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다
삼극진공관을 개발한 리 디포리스트.
디포리스트는 1899년 예일 쉐필드 과학학교에서 무선(Wireless)에 관한 박사 논문으로 학위를 마치고 웨스턴 일렉트릭사에 취직했다. 이 무렵은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 1874~1937)가 발명한 무선 전신 2)이 미국에 도입되어 엔지니어, 발명가들 사이에 무선 전신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었다. 디포리스트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는 1900년에 동료와 함께 마르코니 무선 시스템의 수신 장치인 코히러(Coherer)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를 발명해 무선 전신 사업을 시작했다. 디포리스트 무선 전신 회사를 차려 무선 전신 사업을 하는 동시에 그는 수신 장치 개발을 계속했다. 1903년에는 자신의 라이벌인 페선던(Reginald Aubrey Fessenden, 1866~1932)의 장치와 유사한 전해액을 이용한 수신 장치로 사업을 하다가 특허 침해로 소송을 당해 손해를 보기도 했다. 그래서 그것과 차별화된 수신 장치를 고안하던 중, 디포리스트는 자신의 방에서 조명으로 쓰던 가스버너의 가스가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 후 가스를 담을 수 있는 전구, 특히 백열 전구를 이용한 수신 장치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1906년 10월 디포리스트는 미국 전기 공학 협회에 자신의 발명품인 오디온을 공개했다.
에디슨과 플레밍을 넘어선 발명품, 오디온
사실 이 오디온은 영국인 과학자 존 플레밍(John A. Fleming, 1849~1945)의 이극진공관과 형태가 비슷했다. 플레밍이 이극진공관을 발명한 것은 에디슨 조명회사에 컨설턴트로 근무하던 당시 1883년에 발견된 에디슨 효과에 관심을 가진 데에서 시작되었다. 에디슨 효과는 에디슨이 백열등을 발명한 후, 전구에 추가 전극을 넣는 실험을 하면서 발견한 현상이다. 필라멘트에 연켤시키지 않은 전극 하나를 전구에 추가하고 이 전극을 전기 회로 양극에 연결하면, 필라멘트로 흘러 들어가던 전류의 일부가 이 전극으로 흘러 들어간다. 반대로 전극을 음극에 연결하면 전류는 흐르지 않는 것이었다. 에디슨은 이 새로운 전구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면서 이것을 전류 측정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지만, 더 이상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지는 않았다.
1 에디슨 효과. 전지와 전구가 연결된 회로가 있다. 이 전구에 도선과 플레이트를 투입하고 이 도선을 전지의 +극에 연결하면, 필라멘트에서 전자가 일부 빠져 나와 플레이트로 흘러 들어가 투입한 도선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2 플레밍 벨브.
플레밍은 이를 이용해 고주파의 교류를 정류하는 소위 ‘플레밍 밸브(Fleming Valve)’를 만들었다. 또한, 음극에 안테나를 연결하여 라디오파를 수신하고, 양극은 갈바노미터(galvanometer, 검류계)와 같은 장치에 연결되도록 밸브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밸브는 감도가 높은 라디오 수신기로도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플레밍은 1904년, 1905년에 영국과 미국에 이에 대한 특허 등록을 했다.
오디온이 플레밍 밸브와 너무 흡사하다는 지적이 일자, 디포리스트는 즉시 그리드(Grid,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르는 전자파를 제어함)라고 알려진 세 번째 전극 하나를 추가하여 플레밍의 밸브와 전혀 다른 모습을 갖추게 했다. 또한, 그리드가 첨가되면서 수신된 신호가 크게 증폭될 수 있게 되었다. 이 증폭 기능은 플레밍의 밸브가 갖지 못한 기능이었다. 이로써 디포리스트의 오디온은 독립적인 발명품이 되었다.
기계 시대에서 전자 시대로
1910년 <뉴욕타임스>에 실린 라디오 방송 광고. 리 디포리스트가 확신한대로 라디오 방송은 현실이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신기로 발명된 오디온은 라디오 신호 증폭기, 오실레이터의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 오디온의 발명은 당시 대륙횡단 전화 사업으로 규모를 확대하고자 했던 미국 AT&T사로서는 희소식일 수 밖에 없었다. 1912년 오디온의 신호 증폭 기능 시연이 성공하자 AT&T사는 오디온 특허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T&T사는 장거리 전화 사업을 확장할 수 있었고, 자회사 웨스턴 일렉트릭은 세계적인 오디온 생산 회사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16년에는 오디온을 오실레이터로 개량해 라디오 전송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감도 높은 수신 장치, 오실레이터의 기능은 당시 복잡한 기계적 설비에 의존해야 했던 라디오 전파 송출과 수신의 번거로움을 없앴다. 기계 장치 대신 전자 흐름을 제어하는 간단한 전극 장치로 전파를 발생시키고 수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오디온, 후일 삼극진공관으로 명명된 이 발명품은 전류의 흐름과 연관된 전화, 전신, 라디오가 당면했던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해낸 것이다. 동시에 이는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 시대로의 진입을 알리는 것이기도 했다. 삼극진공관은 이전의 거대 규모의 라디오파 발생기를 대체하면서 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했다.
1906년에 처음 개발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오디온은 값도 비싸고 수명도 짧아서 라디오 전송 장치에 쓰일 수 있을 지가 의문이었지만, 이내 라디오 전송에 매료된 아마추어 발명가들 덕분에 오디온은 빠르게 개선되었다. 한편 디포리스트의 오디온은 오늘날 라디오 방송을 연상시키는 라디오폰 아이디어를 가져다주기도 했다. 외롭게 발명 작업을 계속하던 무렵, 디포리스트는 머리를 식힐 겸 오페라 극장을 가곤 했는데, 돈이 없어 입석 입장권만을 구할 수 있을 뿐이었다. 음악을 사랑하던 그에게 돈 많은 이들에게만 좋은 좌석이 돌아가는 오페라 극장의 시스템이 정당해 보이지 않았다.
그러면서 오페라 공연을 집으로 전송해서 음악을 사랑하는 가난한 사람들도 손쉽게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고, 자신이 개발한 오디온으로 라디오폰을 만들어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디포리스트는 <뉴욕 타임스>에 “나는 오페라가 집집마다 전달되는 그날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뉴스와 선전도 무선 전화를 통해 전달될 것입니다”라고 자신의 계획을 알리기도 하였다.
디포리스트 라디오 전화 전신사의 오디온 신문 광고. 디포리스트의 회사는 라디오 전화의 실패로 파산에 이르고 만다.
디포리스트는 피아니스트이자 후일 자신의 첫 번째 아내가 된 노라 스탠튼 브래치(Nora Stanton Blatch)의 음성 전송 기술의 도움을 받아 라디오 방송 실험을 시작했다. 1908년에 포노그래프 음악을 에펠탑 송신기를 통해 그곳에서 550마일 떨어진 마르세이유까지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디포리스트의 라디오 전화는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전송되는 음악이 중간에 끊기기 일쑤였고 음질이 깨끗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방송 실험은 라디오폰의 기술적인 결함으로 인해 실패하고 말았고, 디포리스트의 회사 라디오 전화 전신사(Radio Telephone & Telegraph Company)도 파산에 이르고 말았다. 비록 방송 실험은 실패했지만, 디포리스트의 실험은 라디오를 문자 전송에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과 뉴스를 전달하는데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려줬다. 디포리스트의 오디온은 라디오 대중문화의 토대를 마련해준 것이었다.
주석
1라디오본문에 쓰인 라디오는 우리가 흔히 듣는 FM/AM의 라디오가 아니라 그 범위가 더 큰, 즉 전파의 변조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기술을 지칭한다.2무선 전신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연관정보
이 글이 담긴 지식리스트 3
-
표제어48건 큐레이터맨손의 마술사 최근수정2022.07.29.
- 트랜지스터의 원리 전자 혁명을 이끈 주역. 트랜지스터 20세기는 뭐니 뭐니 해도 전자 혁명의 시대다. 전자 혁명의 주도자는 반도체였고 그 핵심에 트랜지스터가 있다. 1948년에 태어난 트랜지스터는 진공관을 밀어냈다. 트랜지스터의 탄생은 말 그대로 혁명이었다. 20세기 후반 사람들은 온갖 전자 제품 없이는 살 수 없게 되었고, 그 전자 제품의 핵심이 바로 트랜지스터였다. 우리가 지금 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다른 부품들과 한데 묶여 집적회로(IC)의 핵심 소자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 반도체는 어떤 물질? ] 트랜지스터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려면 먼저 반도체의 기본적인 성질과 그 작동 원리를 알아야 한다. 전기적 성질의 근원이 되는 물리량을 전하(電荷, electrical charge)라고 한다. 전자는 음의 전하를 가지고 있고 양성자는 양의 전하를 가지고 있다. 전류(電流, electric current)란 전하의 흐름으로서, 시간에 따른
- 집적회로 발명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손 안의 컴퓨터, 스마트폰은 문서 작성에서 저장, 인터넷 서핑 및 통신까지 데스크탑 컴퓨터가 하는 일을 거의 다 한다. 이렇게 한 손에 작은 컴퓨터를 들고 다닐 수 있게 된 것은 트랜지스터 1) (Transistor)와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의 발명 덕분이다. 반도체를 이용한 트랜지스터는 신호를 증폭하는 기기인 전구 모양의 진공관을 대체해 메인 프레임 컴퓨터의 크기를 줄여 놓았다. 이어서 집적회로가 발명되어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전선까지 없애면서 더 작은 소형컴퓨터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집적회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집적회로가 만들어지기까지 ] 집적회로가 장착된 마이크로칩. 동그란 창안에 은색의 집적회로가 보인다. <출처: (CC)Zephyris at Wikipedia.org> 집적회로란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 코일 등이 하나의 반도체 기판 위에 분리될 수 없는 상태로 부착된 전자소자 시스
-
표제어292건 큐레이터물리에몽 최근수정2018.05.24.
- 우주 속의 암흑물질 예쁜 꽃, 아름다운 산과 강, 빛나는 별, 그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 은하들로 이루어진 은하단 - 이것이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우주의 모습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우주가 전체 우주의 아주 작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 천재인가 기인인가? ] abell1689은하단-우리 은하로부터 20억 광년 떨어져 있는 거대한 은하단이다. Credit: X-ray; NASA/CXC/MIT/E.-H Peng et al: Optical: NASA/STSd 프리츠 츠비키(Fritz zwicky, 1898-1974)라는 과학자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불가리아에서 스위스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난 츠비키는 1930년대에 취리히에 있는 연방공과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의 윌슨산천문대에서 천문학을 연구했고,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교수를 역임 했다. 츠비키는 보통의 별보다 훨씬 큰 별이 엄청난 폭발과 함께 붕괴하여 밀도가 높은 별이 만들어
- 유리컵 속의 히든카드 “우리 앞에 가로놓인 유리장벽은 너무나 두껍고도 무겁다. 그 한가운데, 우리가 아직 근접할 수 없는 곳에 표준모형의 마지막 패가 하나 엎어져 있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그 패가 ‘신(神)의 입자(God Particle)’라고 굳게 믿고 있다. 신의 입자는 표준모형에서 발견되지 않은 최후의 소립자인 힉스(Higgs) 입자이다.” [ 유리컵 속의 히든 카드 ] 영화 <타짜>의 클라이막스. 아귀는 고니(김곤)가 ‘구라’를 쳤다며 고니의 손목을 잡아 비튼다. 고니는 오히려 더 큰 소리로 결백을 주장하며 문제의 화투패를 유리컵으로 덮는다. 고니는 엎어진 패가 단풍이 아니라는 데에, 아귀는 그 패가 단풍이라는 데에 각자의 모든 돈과 각자의 ‘손모가지’를 걸었다. 둘의 손목은 바둑판 위에 묶였고, 이제 유리컵 속의 화투패를 확인하는 일만 남았다. 자, 결과는? 영화 타짜(2006, 감독 최동훈)의 한 장면 영화든 소설이든 스토리의 숨통에 가로놓인 히든카드는 보는 이의 손을 땀으로 적신
-
표제어11건 큐레이터푸룬 최근수정2018.02.13.
- 트랜지스터 우리 일상은 온통 전자공학에 의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의 일과만 보아도 전자공학의 선물인 각종 가전제품에 둘러싸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핸드폰, MP3 플레이어, 게임기, 컴퓨터 등등. 이들 기기에 들어가는 아주 작은 전자칩, 전자회로 등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지금의 우리 생활은 어떠했을까? 기본적으로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의 운동에 토대를 두고 있는 전자공학의 발달이 가져다준 일상의 변화를 일일이 열거하기란 어렵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전자공학의 혁명이 현대 사회를 낳았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전자공학의 혁명을 있기까지는 오랜 준비 기간이 필요했다. 그 지난한 과정을 한번 되돌아보자. 극소 전자혁명의 시작, 트랜지스터가 탄생하기까지. [ 전자공학 시대를 알리는 서곡, 오디온 ] 1906년 미국인 발명가 리 디 포리스트(리 드 포레스트, Lee de Forest)는 라디오파를 검출하는 수신 장치로 쓸 수도 있고 전자파를 증폭하는 증폭기로도 쓸 수 있는
- 마르코니의 무선전신 발명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12년. 사상 초유의 해상 사고가 발생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극진공관 - 리 디포리스트 (물리산책, 박진희, 과학창의재단)
'진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극관의 구조와 동작원리 (0) | 2024.03.05 |
---|---|
3극 진공관의 구조와 작동 (0) | 2024.03.05 |
진공관 앰프는 6개월마다 관청소를 해줘야 (4) | 2024.03.05 |
중고 12AX7 구입및 중고 진공관 구입 요령 (0) | 2024.03.04 |
앰프성능을 제대로 내어주는 진공관의 사용과 진공관 구매시 유의점 (1)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