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dio

Yamaha | 턴테이블이 스트리머로 변신! 야마하의 트랜스포머 TT-N503

by onekey 2024. 2. 28.

 

 
 
일본 야마하(Yamaha)가 27년만에 턴테이블 2종을 선보였다. 이번 시청기인 TT-N503과 이보다 싼 TT-S303이다. 시청을 위해 풀레인지를 방문, TT-N503을 살펴보다가 ‘이상한’(?) 점 하나를 발견했다. 턴테이블 뒷면에 랜선 연결을 위한 이더넷 단자가 있는 것이다. 턴테이블에 랜선? 혹시 네트워크 플레이가 되는 턴테이블 아닐까 싶었다. 맞았다. 이때부터 턴테이블이 스트리머로 변신하는 놀라운 트랜스포머 쇼가 펼쳐졌다. 
 
▲ Yamaha Musiccast Vinyl 500 TT-N503
 
 
 
 
트랜스포머 1단계 : MM 포노스테이지 내장 턴테이블 
 
 
TT-N503의 정식 모델명은 MusicCast Vinyl 500(TT-N503)이다. 야마하 입장에서는 자사 무선네트워크 기능인 뮤직캐스트를 앞세우고, 이 제품이 기본적으로 바이닐 재생을 위한 턴테이블임을 강조하고 싶었을 것이다. 실제로 TT-N503은 누가 봐도 턴테이블이다. 블랙 피아노 도장을 한 플린스 위에 알루미늄 플래터가 올려져 있고, 역시 블랙 알루미늄 톤암에는 오디오테크니카 MM 스타일러스(ATN3600L)가 기본 장착돼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봤다. 플린스 앞쪽에는 왼쪽부터 파워/스탠바이 버튼, 회전수 선택버튼(33.3/45), 플레이/스톱 버튼, 커넥트 버튼이 있다. 커넥트(Connect)? 눌러보니 총 3가지 모드로 작동한다. 이 때마다 위에 달린 조그만 LED 색깔이 바뀌는데 흰색(포노), 초록색(네트워크), 파란색(블루투스) 순이다. 그리고 이 버튼 오른쪽에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표시등이 달렸다. 이 때만 해도 블루투스를 지원하는가 보다 싶었다. 
 
TT-N503은 기본적으로 DC모터로 작동하는 벨트 드라이브 턴테이블이다. 벨트 매트가 올려진 직경 30cm의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플래터를 들어올리니 왼쪽에 모터가 보인다. 이 모터에 연결된 고무 벨트가 플래터 안쪽 내주부를 돌리는 구조다. 45회전 선택시에는 동봉된 어댑터를 이용해야 한다. 플래터의 와우앤플러터는 0.2%에 그친다. 
 
 

 
톤암은 스태틱 밸런스형 9인치 스트레이트 톤암으로, 피벗과 침선까지의 유효거리가 223.5mm, 침선과 스핀들 중심부까지의 오버행은 19mm를 보인다. 분리 가능한 헤드쉘에는 이미 오디오테크니카 MM 스타일러스(출력 2.5mV, 침압 3.5g)가 카트리지(5.0g)에 장착돼 있다. 수평축 맞춤을 위한 카운터 웨이트와 링, 안티스케이팅 조절 노브도 있다. 플린스는 MDF 소재. 
 

TT-N503은 또한 MM 포노스테이지를 내장했는데, 이를 바이패스할 수도 있다. 이미 별도 포노앰프가 있거나 포노단을 내장한 프리/인티앰프가 있을 경우 유용할 것이다. 후면을 보면 스위치가 있어서 라인아웃(내장 포노스테이지 사용. 450mV)과 포노아웃(외장 포노스테이지. 2.5mV)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아날로그 출력 RCA 단자 옆에는 위에서 언급한 이더넷 단자가 자리잡고 있다. 전원은 전용 어댑터를 통해 공급받는다.

 



 

 

 

트랜스포머 2단계 : 뮤직캐스트 앱을 통한 네트워크 플레이어

 



뒤에서 자세히 쓰겠지만 TT-N503은 턴테이블로서, 그것도 MM 포노단을 내장한 턴테이블로서 가격대를 의심할 만한 완성도 높은 소리를 들려줬다. 이를 확인한 다음 설레는 마음으로 트랜스포머 변신 작업을 시작했다. 처음 해본 것은 네트워크 플레이어. 예전 야마하 제품을 리뷰하면서 스마트폰에 깔아놓은 뮤직캐스트 앱이 있어 이를 활성화시켰다. 그런데 아무 일도 일어나질 않는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앞에서 언급한 ‘커넥트’ 버튼이었다.

 



뮤직캐스트 앱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커넥트 버튼을 한번 눌러 초록색 불이 들어오게 한 후, 5초 동안 더 눌러주면 오른쪽에 있는 와이파이 표시등이 반짝거리기 시작한다. 이렇게 해서 뮤직캐스트 앱과 TT-N503이 동일 네트워크에 들어오게 되면 와이파이 표시등은 계속 켜져 있게 된다. 앱을 보니, 디저(Deezer), 에어플레이(AirPlay), 서버, 넷라디오, 블루투스, 포노 등 6가지를 할 수 있다. 타이달이나 코부즈와 달리, 국내 정식 론칭한 스트리밍 서비스 디저만 지원하는 점이 눈길을 끈다.

 

뮤직캐스트 앱에서 ‘서버’를 선택, 풀레인지 NAS에 접속해봤다. 다이애나 크롤의 ‘Temptation’을 선택하니 여지없이 네트워크 플레이가 시작된다. 앱에는 앨범 재킷사진이 뜬다. 턴테이블이 네트워크 플레이어로 1단계 변신한 것이다. 턴테이블에 네트워크 모듈을 붙인 것뿐이지만, 이런 생각을 떠올려 이를 실행했다는 게 놀랍다. 마치 콜럼버스의 달걀을 보는 것 같다. LP에 관심은 있는데 현재 네트워크 플레이만 하는 신규 유저들을 끌어들이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트랜스포머 3단계 : UPnP/DLNA를 통한 스트리머

 


▲ BubbleUPnP 구동화면 (안드로이드 화면)
 
사실 필자는 UPnP/DLNA를 즐겨 사용한다. 집에서는 주로 룬(Roon)을 사용하지만 코어인 맥북에어조차 켜기 귀찮을 때면, UPnP/DLNA로 그냥 음악을 듣는다. 컴퓨터 없이 필자 스마트폰에 깔아놓은 버블유피앤피앱으로 타이달(Tidal)과 코부즈(Qobuz) 음원을 마음껏 스트리밍하는 것이다. 세상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재생음의 풋워크도 룬 플레이 때보다 훨씬 경쾌하게 느껴진다.
 
처음에는 ‘설마 TT-N503이 UPnP/DLNA까지 지원하겠어?’ 싶었다. 버블유피앤피 앱을 켜니 렌더러(renderer)에 한글로 ‘턴테이블’이 뜬다. 야마하 TT-N503이다. 버블유피앤피 앱에 렌더러로 턴테이블이 뜨는 날이 올 줄은 정말 꿈에도 몰랐다. 타이달에서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Rehab’을 선택하니, 재생중인 뮤직캐스트 앱 노래가 중단되고 곧바로 UPnP/DLNA를 통해 음악이 흘러나온다. 아주 깔끔한 변신이다.
 
이 대목에서 한가지 기본적인 사실을 발견했다. TT-N503에는 네트워크/스트리밍 모듈 뿐만 아니라 유무선을 통해 들어온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DAC이 내장됐다는 것이다. 이렇지 않고는 아날로그 아웃을 시킬 수가 없다. 블루투스도 되는 이유다. 이와 관련한 스펙을 살펴보니 최대 24비트/192kHz PCM 음원과 DSD128 음원까지 지원한다.
 
 
야마하와 턴테이블
 

 

 

▲ 이미지 출처 : 야마하뮤직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참고로 야마하의 턴테이블 제작 히스토리를 살펴봤다. 야마하는 야마하 토라쿠스(Torakusu Yamaha)가 1887년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에 설립한 일본악기제조주식회사가 모태다. 1900년에 업라이트 피아노, 1902년에 그랜드 피아노를 생산했다. 1942년에는 어쿠스틱 기타, 1966년에는 일렉트릭 기타, 1976년에는 디지털 피아노를 출시했다. 오디오 제작에 본격 뛰어든 것은 1973년부터다.

 

 



엔트리 레벨 턴테이블만 생산하던 야마하가 처음 내놓은 본격파 턴테이블은 1976년의 YP-1000. DC서보 모터가 플래터를 직접 돌리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시스템으로, 스탁스 UA-7 톤암과 슈어 V-15 MM카트리지를 장착했다. 무엇보다 유러피언 감성에 호소하는 듯한 깔끔한 디자인이 지금 봐도 눈에 쏙 들어온다. 이어 1978년에는 야마하 최초의 리니어 톤암을 장착한 PX-1을 선보였다. 이 라인업은 이후 1979년에 PX-2, 1981년 PX-3로 진화했다.

 

 



CD가 처음 등장한 1982년에 야마하는 대단한 결정을 내린다. 오히려 크고 육중한 플래그십 턴테이블 GT-2000을 출시한 것이다. 가로폭이 545mm에 이를 정도로 크고(Gigantic) 엄청나서(Tremendous) ’GT’다. 다이렉트 드라이브(DD) 방식에 리니어 톤암 대신 전통의 S자 롱암을 장착했다. GT-2000은 1991년까지 생산될 정도로 롱런했다. 이밖에 벨트 드라이브형 PF-1000이 1984년, DD형 GT-750이 1985년에 나왔다.

 

시청기인 TT-N503의 직계 오리지널은 1987년에 출시된 벨트 드라이브형 TT-300과 그 후계기인 TT-400. 야마하가 2018년 기준 27년만에 턴테이블을 내놓았다고 밝힌 것은 TT-400이 단종된 해(1991년)부터 따진 것으로 보인다. TT-400은 벨트 드라이브 방식에 DC 모터, 알루미늄 플래터, 33.3 및 45회전, 스태틱 밸런스형 스트레이트 톤암, 톤암 유효거리 230mm, 오버행 16mm 등 구조와 스펙이 지금의 TT-N503과 흡사하다.

 

 

 

시청

 

시청에는 록산의 인티앰프 K3와 모니터오디오의 5세대 Gold 300을 동원했다. 먼저 턴테이블로 들었다. 인티앰프 K3에 포노 스테이지가 내장돼 있지만, TT-N503도 포노단을 내장한 만큼 K3 포노단은 바이패스시키기로 했다. 즉, TT-N503을 포노아웃이 아니라 라인아웃시켜 K3의 라인입력단과 연결했다. 물론 랜선과도 연결된 상태다.

 



john Lennon - imagine (The john Lennon Collection)

 

사실 아날로그 재생기로서 TT-N503에 대한 기대치는 그렇게 높지 않았다. 가격대도 그렇고 네트워크 스트리밍 기능과 포노단까지 내장된 제품이기 때문이다. LP 입문자를 위한 다기능 제품이거니 생각했던 필자의 선입견은 첫 곡부터 박살났다. 피아노의 두텁고 풍성한 배음이 처음부터 ‘난 디지털이 아니야’를 외쳤기 때문이다. 물론 MC 타입의 선명하고 섬세한 재생음이 아니라, 진하고 게인이 높은 전형적인 MM 사운드였다. RIAA 보정 기능을 갖춘 내장 포노스테이지와 오디오테크니카의 MM 스타일러스가 생각 이상으로 잘 만들어진 것 같다. 존 레논의 음상은 비교적 또렷하게 잡히고 목소리는 분명하게 들린다. 2번 트랙 ‘Jealous Guy’에서 힘이 실린 휘파람과 텐션감 만점의 드럼 소리가 좋았다. 3번 트랙 ‘Stand By Me’는 곡의 기세와 에너지감이 날것 그대로의 느낌을 잘 전해줬다.

 

 



Miles Davis - Just Squeeze Me

 

풀레인지 시청실에 오게 되면 꼭 틀게 되는 LP다. 마일즈 데이비스, 존 콜트레인, 레드 갈란드 등 한 시대를 풍미한 뮤지션들이 총 집합한 앨범이기 때문이다. 특히 레드 갈란드의 피아노 소리가 참 좋다. 곡이 시작되자 트럼펫이 마치 석양에 비친 브라스처럼 광채와 숨결을 생생히 뿜어낸다. 고음이 통제되지 않은 채 위로 쭉쭉 뻗는다. 거침이 없다. 한참 지나서야 등장한 존 콜트레인의 테너 색소폰은 호방하며 양감이 풍부하다. 큰 붓으로 일필휘지하는 것 같다. 피아노 솔로 대목은 명랑하고 영롱하며 보드라운 음의 잔치. 오른손 터치가 무척 선명하고 깨끗하게 들린다. 아무 생각 없이 곡에 푹 빠져들었을 만큼 LP 재생능력이 좋았다. 역시 1970년대부터 턴테이블을 생산해온 야마하의 관록이 빛난다.

 

 

 



 

glenn gould - bach goldberg variations

 

은은하게 받쳐주는 피아노 왼손 저역 위로 오른손이 명징하고 즐겁게 노니는 모습을 너무나 손쉽게 전해준다. 업라이트가 아닌 그랜드 피아노로 등장해 다행이다. 피아노 인클로저의 울림도 잘 느껴지는 편. 왼손과 오른손 조화가 눈에 띄게 좋은 것을 보면 포노단의 대역밸런스가 잘 잡혀있음이 분명하다. 스타일러스와 톤암의 트래킹 능력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디지털 음원을 동시에 재생, 비교해봐도 와우앤플러터는 체감상 전혀 느끼지 못했다. 이런 소리를 디지털 음원으로 들으려면 트랜스포트와 DAC에 이보다 훨씬 많은 수업료를 지불해야 할 것이다. 물론 TT-N503에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톤암의 만듦새와 특히 리프팅 레버의 제작품질이 마음에 안든다. 하지만 가격대를 감안하면 납득이 가는 수준이다. 이에 비해 플린스의 피아노 도장은 완성도가 높다. 역시 피아노로 유명한 야마하인 것이다.

 



Amy WineHouse 'Rehab' (Back To Black)

 

이번에는 UPnP/DLNA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해 들었다. 태생이 턴테이블인데도 타이달의 16비트/44.1kHz FLAC 음원을 일체의 버벅거림 없이 스트리밍하는 모습이 대단하다. 도대체 못하는 게 뭔지 묻고 싶을 정도다. 내장 DAC 성능 역시 평균 이상이다. 어떤 DAC 칩을 썼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촉감이나 해상도, 가격대를 따져보면 AKM이나 ESS 제품은 아닌 것 같다. 어쨌든 스트리밍 음원으로 듣는데도 힘 있고 분명해서 정신이 번쩍 날 정도의 음을 계속해서 들려준다. 이제 남은 공은 TT-N503과 연결된 앰프와 스피커의 몫인 것이다. 이어 들은 ‘You Know I’m No Good’은 심지가 단단히 박힌 음들이 신나게 난무했고, 제시 쿡의 ‘Vertigo’에서는 기타 소리가 참으로 묵직하게 잘 뽑아져 나왔다. 전체적으로 무게감과 중량감이 느껴지는 소리이지만 풋워크가 굼뜬 것은 아니다.

 

 

※ 위 유튜브영상은 리뷰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영상이며 실제 리뷰어가 사용한 음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총평

 



야마하의 상상은 현실이 됐다. 27년만에 턴테이블을 내놓으면서 네트워크 플레이라는 트렌드를 과감히 그리고 성공적으로 올라탔다. 물론 ‘뮤직캐스트’ 생태계를 조금씩 완성시켜온 덕분이다.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TT-N503을 추천한다. 스트리밍 음원을 즐기고 있지만 LP에도 입문하고 싶은 애호가, 턴테이블은 구입하고 싶은데 포노 스테이지까지는 필요없는 실속파, 기존 뮤직캐스트 스피커를 가진 상태에서 턴테이블을 추가하려는 야마하 유저들. 어느 경우에든 알찬 기능과 가성비 음질에 깜짝 놀라실 것이다.

 

 

S P E C I F I C A T I O N

 

 

 

 



관련상품